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이 보유세에 미치는 영향+열람 방법과 이의신청 절차

by 자유소유 2025. 4. 29.
반응형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이 보유세에 미치는 영향+열람 방법과 이의신청 절차

안녕하세요, 자유소유입니다 😊

오늘(4월 29일), 국토교통부가 2025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시가격은 오는 4월 30일부터 열람할 수 있는데요,
특히 서울은 1년 만에 7.86%나 껑충 뛰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어요.

"공시가격이 오르면 내 보유세는 얼마나 오를까?"
"열람은 어디서 하고, 혹시 이의신청은 어떻게 하지?"

이런 궁금증이 많을 것 같아서,
오늘은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이 보유세에 미치는 영향부터
열람 방법과 이의신청 절차까지 한 번에 싹 정리해드릴게요. 

지금부터 천천히 같이 알아봐요! 


1. 2025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요약

  • 전국 평균 상승률: 3.65%
  • 서울 상승률: 7.86% (전국 최고)
  • 서초구 상승률: 11.64%
  • 강남구 상승률: 11.16%
  • 성동구 상승률: 10.71%
  • 용산구 상승률: 10.51%
  • 송파구 상승률: 10.04%
  • 마포구 상승률: 9.34%

👉 특히 서초·강남·용산·송파 등 강남권과 인기 지역의 상승폭이 매우 컸습니다.

반면, 세종(-3.27%), 대구(-2.90%) 등은 하락세를 보였어요.


2. 보유세 변화 영향 분석 (핵심 아파트 중심)

공시가격이 오르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부담이 함께 올라가죠.

그럼 요즘 검색량 폭발하는 인기 아파트 단지들 중심으로 보유세 변동 예시를 살펴볼게요! 🔥

 

🔥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 전용 113㎡ 기준 최근 실거래가: 54억 (2025.03 기준)
  • 공시가격 예상치: 약 49억~50억
  • 2024년 보유세: 약 1,340만 원
  • 2025년 보유세 예상: 약 2,500만 원 이상

▶ 포인트: 실거래가 급등과 함께 초고가 아파트 공시가격 인상폭이 크고, 세금 부담도 대폭 증가 예상


🔥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 전용 115㎡ 기준 실거래가: 31억 (2025.04 기준)
  • 공시가격 예상치: 약 28억~30억
  • 보유세 예상 증가율: 약 25~30%

▶ 포인트: 노후 아파트임에도 재건축 기대감, 학군 입지 등으로 실거래가 및 공시가격 동반 상승


🔥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 전용 244㎡ 기준 공시가격: 약 60억 원
  • 보유세 예상액: 4,000만 원 이상 가능성

▶ 포인트: 초고가 아파트일수록 종부세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짐


🔥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 전용 109㎡ 기준 실거래가: 28억 (2025.03 기준)
  • 공시가격 예상치: 약 25억 내외
  • 보유세 증가 예상률: 약 20~25%

▶ 포인트: 잠실의 대표 대단지로서 최근 매매가 상승 흐름과 함께 공시가격도 동반 상승

 


3. 공동주택 공시가격 열람 방법

✅ 열람 사이트: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 이달 30일부터 확인 가능
  • 공동주택 소재지 입력 후 간편 조회

✅ 열람 가능한 장소:

  • 해당 공동주택 소재 시·군·구청 민원실 방문 가능

4. 공동주택 공시가격 이의신청 절차

✅ 이의신청 기간

  • 2025년 4월 30일 ~ 5월 29일

✅ 신청 방법

✅ 심사 및 결과 통보

  • 한국부동산원이 재조사
  • 감정평가사 검토
  • 6월 26일까지 결과 통보 예정 (우편 등으로 안내)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보유세는 공시가격에만 따라 오르나요?
A1. 아닙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 세율 등도 영향을 미칩니다.

Q2. 이의신청하면 보유세도 바로 줄어드나요?
A2. 이의신청이 인용돼 공시가격이 조정되면 보유세 부담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Q3. 공동명의 주택은 이의신청 어떻게 하나요?
A3. 공동명의자 모두의 동의가 필요하며, 각자 이의신청할 수 있습니다.


6. 마무리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은 단순히 숫자 문제가 아니에요.
실제 내야 할 세금이 직접적으로 오르기 때문에, 특히 서울·강남권에 집을 가진 분들은 체감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공시가격 열람 꼭 확인하시고, 납득하기 어렵다면 적극적으로 이의신청 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