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혜택 ,세금 ,대출 정보

노란봉투법 통과란? 뜻부터 주요내용까지 쉽게 정리

by 자유소유 2025. 8. 1.
반응형

노란봉투법 통과란? 뜻부터 주요내용까지 쉽게 정리

2025년 8월 1일, 노란봉투법이 법사위까지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노란봉투법이란 무엇이고, 왜 이렇게 주목을 받고 있을까요?
처음부터 차근차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노란봉투법이란?

 

노란봉투법은 공식 명칭으로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와 제3조 개정안입니다.
주요 내용은 두 가지입니다.

  • 하청 노동자도 원청 회사가 책임지도록 하자
  • 합법적인 파업 중 발생한 손해에 대해 노동자에게 손해배상 청구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자

이 법은 노동자들이 파업했다는 이유로 거액의 손해배상을 청구당하지 않게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왜 '노란봉투법' 이라고 부르나요?

2014년,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들이 회사로부터 수십억 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당했습니다.


이에 시민들이 이들을 돕기 위해 작은 후원금을 노란봉투에 담아 보낸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법은 **‘노란봉투법’**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 것입니다.


3. 노란봉투법 통과 타임라인 정리


날짜 주요사건
2009-05-21 쌍용차 정리해고 → 손해배상 47억 소송 → 30명 이상 사망
2014년 '노란봉투' 캠페인 시작
2023-06 대법원, 쌍용차 손배소 파기환송
2023-11-09 국회 본회의 첫 통과 (민주·정의당 찬성, 국민의힘 불참)
2023-12-01 윤 대통령 거부권 행사 → 국회 재표결 부결
2025-07-28 환경노동위 통과 (사용자 범위·손배 제한 포함)
2025-08-01 법제사법위원회 통과 → 8월 4일 본회의 상정 예정

4. 노란봉투법 주요 내용 요약

  •  하청노동자 보호: 원청 회사가 책임지도록 법적 사용자 범위 확대
  •  손해배상 제한: 합법 파업 중 발생한 손해에 대해 손배소 금지
  •  파업 자유 보장: 헌법상 노동 3권(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강화

 

5. 이번 법사위 통과 내용은?

 

2025년 8월 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노란봉투법이 통과되었습니다.


민주당 주도로 전체회의에서 표결이 이뤄졌고, 재석 16명 중 10명 찬성, 6명 기권으로 가결되었습니다.
국민의힘은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항의했습니다.

“토론하자”, “토론이 무서운가” 라며 법사위 내 고성이 오가기도 했습니다.


6. 노란봉투법 왜 논란이 되는 걸까?

노란봉투법은 노동자에게는 희망이지만, 사용자(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  노동자 입장: 부당한 손배소를 막고, 파업의 자유 보장
  •  기업 입장: 파업으로 인한 손해를 고스란히 감수해야 한다는 부담
  •  정치권: 찬반 갈려 극심한 대립 중 (대통령 거부권 행사도 경험)

7. 노란봉투법에 대한 찬반 입장

 

찬성 측 반대 측
노동자의 권리 보장 기업 부담 과도
헌법상 단체행동권 보호 파업 남용 우려
손배소 남발 방지 원청 책임 확대 반발

8. 노란봉투법 핵심 정리 

 

노란봉투법은 단순한 '노동 관련 법 개정'이 아닙니다.


우리 사회가 노동자의 권리와 기업의 책임 사이에서 어디까지 균형을 잡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담긴 법입니다.

 

 

2025년 8월 4일, 노란봉투법은 국회 본회의에 상정됩니다.

 


어떤 결과가 나오든, 우리 사회의 노동 환경과 기업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