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인사이트

쯔양 경찰 조사 거부 이유는? 가세연 스토킹 고소 사건 + 구제역 협박 정리

by 자유소유 2025. 4. 16.
반응형

쯔양 경찰 조사 거부 이유는? 가세연 스토킹 고소 사건 + 구제역 협박 정리

 

안녕하세요, 자유소유입니다 😊

오늘은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 씨가 겪은 협박 및 스토킹 사건과 관련하여, 경찰 조사 거부 이유, 가세연 및 구제역과의 갈등, 그리고 사건의 전개 과정을 시간 순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사건의 흐름을 이해하시고, 피해자 보호의 중요성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1.사건의 시작: 전 남자친구의 폭행과 협박

쯔양은 2024년 7월, 유튜브 생방송을 통해 전 남자친구이자 소속사 대표였던 A씨로부터 4년간의 폭행과 협박, 그리고 수익 갈취를 당했다고 고백했습니다. 그녀는 A씨가 불법촬영물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하며 자신을 통제했고, 유튜브 활동을 통해 얻은 수익 중 상당 부분을 갈취당했다고 밝혔습니다.

 

 


2.사이버 렉카 유튜버들의 협박

이후 유튜버 구제역(본명 이준희) 등 일부 유튜버들이 쯔양의 과거를 빌미로 협박을 시도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쯔양은 이들에 대해 공갈 및 협박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습니다. 특히 구제역은 쯔양의 소속사로부터 금전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커졌습니다.

쯔양이 유튜버 구제역에게 금전을 제공한 배경은, 구제역이 쯔양의 과거 사생활을 폭로하겠다고 협박하며 금전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쯔양은 협박을 멈추기 위해 구제역에게 금전을 제공하였으며, 이후 구제역은 공갈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습니다 .​

이 사건은 사이버 렉카 유튜버들의 협박과 금전 요구 행위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피해자 보호와 관련 법적 대응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줍니다.


3.가세연의 폭로와 논란 자세한 배경

쯔양과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 간의 갈등은 2024년 7월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쯔양은 전 남자친구이자 소속사 대표였던 A씨로부터 4년간 폭행과 협박을 당했으며, A씨의 강요로 유흥업소에서 일하게 되었다고 고백했습니다. 

 

이러한 고백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고, 쯔양은 해당 내용을 유튜브 생방송을 통해 공개했습니다.

 

그러나 가세연의 대표 김세의 씨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쯔양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그녀의 발언을 공개적으로 반박했습니다. 

김세의 씨는 쯔양의 고백을 '거짓'이라고 지적하며, 그녀의 사생활을 언급하는 등 지속적으로 비판적인 내용을 방송했습니다. 

이에 대해 쯔양은 김세의 씨가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자신과 지인들을 괴롭혔다며 명예훼손, 스토킹, 협박 등의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 .​

 

쯔양 측은 김세의 씨가 2024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30회에서 40회 이상 쯔양을 언급하며 지속적으로 괴롭혔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김세의 씨의 발언으로 인해 쯔양의 지인들까지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쯔양은 김세의 씨를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섰습니다 .​

 

그러나 경찰은 2025년 2월, 김세의 씨에 대한 고소 사건에 대해 '각하'와 '무혐의' 처분을 내렸습니다. 

경찰은 쯔양이 고소를 취하했고, 범죄 혐의를 입증할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사건을 종결 처리했습니다. 

이에 대해 쯔양 측은 고소를 취하한 적이 없으며, 충분한 증거를 제출했다고 반발하며 이의신청을 제출했습니다 .​

 

검찰은 쯔양 측의 이의신청을 받아들여 사건에 대한 보완 수사를 지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쯔양은 2025년 4월 16일, 서울 강남경찰서에 고소인 신분으로 출석하여 조사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쯔양은 경찰의 피해자 보호 조치가 미흡하다고 판단하여 30여 분 만에 조사를 거부하고 귀가했습니다.

 쯔양 측은 경찰이 피해자 보호에 대한 의지가 없어 보였고, 보완 수사 관련 내용을 알려주지 않아 공정한 수사에 대한 의심이 들어 조사를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쯔양과 가세연 간의 갈등이 단순한 의견 차이를 넘어, 법적 대응과 피해자 보호 문제로까지 확산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쯔양은 지속적인 괴롭힘과 허위 사실 유포로 인해 큰 정신적 고통을 겪었으며, 이에 대한 법적 대응을 통해 더 이상의 피해를 방지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수사 과정에서의 미흡한 대응은 2차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4.경찰의 불송치 결정과 검찰의 보완 수사 요구

2025년 2월, 경찰은 김세의 가세연 대표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렸습니다. 협박 및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고소 취하서를 제출했다는 이유로 각하, 스토킹처벌법 위반 및 강요 혐의는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없음 처분을 내렸습니다. 이에 쯔양 측은 이의신청을 제출했고, 검찰은 5개 혐의 전체에 대해 보완 수사를 요구했습니다.


5.쯔양의 경찰 조사 거부 이유

2025년 4월 16일, 쯔양은 서울 강남경찰서에 고소인 신분으로 출석했으나, 40여 분 만에 조사를 거부하고 퇴장했습니다. 쯔양 측 법률대리인은 경찰이 피해자 보호 의지가 없어 보였고, 보완 수사 관련 내용을 알려주지 않아 공정한 수사에 대한 의심이 들어 조사를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쯔양은 필요시 다시 조사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 마무리하며

이번 사건은 유명 유튜버가 겪은 사생활 침해와 협박, 그리고 사이버 렉카 유튜버들의 부적절한 행태를 드러낸 사례입니다. 

피해자가 용기를 내어 피해 사실을 공개하고 법적 대응에 나섰음에도 불구하고, 수사 과정에서의 미흡한 대응은 2차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