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파트 전기계량기 보는법 – 전자식·기계식부터 원룸·검침 정산까지
전기요금 아끼는 첫걸음!
바로 우리 집 전기계량기부터! 기계식부터 전자식까지 계량기 종류별 확인법과 위치, 검침 시 유의사항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1. 전기계량기란? 왜 알아야 할까?
전기계량기는 우리가 얼마나 전기를 사용했는지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전기요금은 이 계량기의 숫자(지침)에 따라 부과되므로 정확히 읽는 법을 알면 불필요한 요금이나 실수도 피할 수 있죠.
전기세 이의제기나 이사 정산, 출산 가구 할인 신청 같은 혜택을 받을 때도 계량기 지침 확인이 필수랍니다!
2. 전기계량기 위치 – (신축)아파트, 원룸, 상가까지
① 아파트 or (신축아파트) 전기계량기 위치
- 대부분 복도 쪽 EPS실(전기배선실)에 설치돼 있습니다.
- 신축 아파트의 경우, 설계 단계에서 계량기 위치가 정해지므로, 관리사무소에 문의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다세대·다가구 주택 전기계량기 위치
- 1층 공동현관 근처나 각 층 벽면에 설치돼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필로티 주차장 벽면도 자주 활용됩니다.
③ 단독주택 전기계량기 위치
- 대부분 건물 외벽에 노출형으로 부착되어 있어 확인이 쉽습니다.
- 드물게 실내 창고 안에 있을 수도 있으니 꼼꼼히 확인하세요.
④ 상가 건물 전기계량기 위치
- 1층 내부 또는 외부 집단 계기함에 다수의 계량기가 모여 있는 형태입니다.
- 내 계량기 번호는 전기요금 청구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3. 전기계량기 종류별 확인법
전기계량기는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나뉩니다.
🔹 기계식 계량기
- 숫자판이 돌아가는 오래된 방식.
- 화면의 숫자를 그대로 읽고, 소수점 이하는 무시합니다.
- 예) 4722.9 → 현재지침 4722 kWh
🔹 전자식 계량기
- E-Type (구형)
- 화면 고정, 숫자 그대로 읽으면 됩니다.
- 예) 03412.1 → 3412 kWh
- 표준형 전자식
- '03'번 화면 확인 → 예) 85677.8 → 85677 kWh
- G-Type / Advanced E-Type (신형)
- 화면이 1~2초마다 바뀜
- ‘07’번 화면이 현재지침
- 예) 01106.8 → 1106 kWh
👉 각 화면 번호가 의미하는 건 조견표를 참고해야 하며, 3번, 7번 화면이 가장 중요한 '현재지침값'입니다.
4. 전기계량기 숫자 보는 법
소수점 주의!
- 모든 계량기에서 소수점 이하 숫자는 버립니다.
계약전력에 따른 화면 번호 확인
- 20kW 이하: 7번 또는 3번
- 20kW 초과:
- 2종: 10번, 11번
- 3종: 13~15번 화면 확인
예)
- 화면에 07 / 13442.4 → 현재지침은 13442 kWh
- 화면에 03 / 85677.8 → 현재지침은 85677 kWh
5. 이사 및 정산 시 꼭 알아야 할 팁( 3번 7번)
- 이사 시 전출일 기준 지침값을 사진으로 남기세요.
- 관리실 또는 한전에 정산 요청할 때 증빙이 됩니다.
- 고지서 상의 계량기 번호와 비교하여 내 계량기를 정확히 식별하세요.
반응형
'무료 꿀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안 8월 물때표시간 총정리 (물때표 달력) (1) | 2025.08.01 |
---|---|
전자렌지로 단호박 찌는법(6분이면 ok) (2) | 2025.07.31 |
초복 중복 말복 날짜 (삼계탕 맛집 추천) (3) | 2025.07.30 |
서울 노원 상견례 장소 추천 (2) | 2025.07.30 |
전기 압력밥솥 삼계탕 맛있게 끓이는법 (2)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