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혜택 ,세금 ,대출 정보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계산기 바로가기)

by 자유소유 2025. 8. 18.
반응형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계산기 바로가기)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야근이나 휴일 근무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연장근로수당 계산법을 정확히 알지 못해 정당한 권리를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장근로수당은 단순히 “추가 수당”이 아니라 근로기준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오늘은 연장근로수당의 지급 기준, 계산법, 야간·휴일 수당과의 차이, 그리고 실제 계산 예시까지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연장근로수당이란 무엇인가?

 

연장근로수당은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했을 때 지급되는 수당을 의미합니다.

  • 법정근로시간: 1일 8시간, 1주 40시간
  • 이를 초과하면 해당 시간은 모두 연장근로에 해당하고, 반드시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즉, 직장인들이 흔히 말하는 ‘야근수당’이 바로 연장근로수당인 셈입니다.


2. 연장근로수당 지급 기준

 

연장근로수당은 아무 때나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1일 8시간, 주 40시간 초과 근로
    →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만 연장근로수당 발생
  2. 사전 합의 필요
    → 사용자는 근로자 동의 없이 임의로 연장근로를 시킬 수 없음
  3. 통상임금의 150% 적용
    → 연장근로수당 계산 시 1.5배 가산율 적용

※ 단, 5인 미만 사업장은 연장근로수당 의무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3.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상세 설명

연장근로수당 계산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기본은 시급 × 연장근로시간 × 1.5입니다.

 

 

  • 시급 계산법
    월급 ÷ 209시간(법정 기준 근로시간)
  •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시급 × 1.5 × 연장근로시간

예를 들어 월급이 2,090,000원이라면,

  • 시급 = 2,090,000 ÷ 209 = 10,000원
  • 하루 2시간 초과 근무 시 = 10,000 × 1.5 × 2 = 30,000원

이렇게 하루 추가 근로로도 연장근로수당은 꽤 중요한 차이를 만듭니다.


4. 야간수당 및 휴일근로수당과의 차이

연장근로수당은 다른 가산수당과 혼동되기 쉽습니다. 구분이 필요합니다.

  • 연장근로수당: 법정근로시간 초과분, 1.5배 가산
  • 야간근로수당: 밤 22시~06시 근무 시, 1.5배 가산
  • 휴일근로수당: 일요일·공휴일 근무 시, 1.5배~2배 가산

👉 만약 “휴일 + 연장 + 야간”이 동시에 겹친다면?


→ 중복 적용되어 최대 2.5배까지 지급됩니다.

 

 

즉, 토요일 밤 10시부터 일요일 새벽 2시까지 일했다면,

연장근로수당, 야간수당, 휴일근로수당이 모두 적용되어 매우 높은 수당이 산정됩니다.


5. 연장근로수당 미지급 시 불이익

사용자가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불이익이 따릅니다.

 

  • 형사처벌: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 체불임금 청구 가능: 과거 미지급분까지 소급 청구 가능
  • 노동청 진정 시 행정처분: 근로감독관 조사 및 사업주 입건 가능

따라서 근로자는 연장근로수당 계산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업주는 이를 성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6. 연장근로수당 계산기+계산 예시 (실제 적용 사례)

📌 사례 1: 평일 연장근로

  • 월급 2,500,000원 / 하루 2시간 초과 근무
  • 시급 = 2,500,000 ÷ 209 ≈ 11,960원
  • 연장근로수당 = 11,960 × 1.5 × 2 = 35,880원

📌 사례 2: 휴일 + 연장근로

  • 일요일 10시간 근무
  • 8시간 × 1.5배 + 2시간 × 2배 = 총 160,480원

📌 사례 3: 야간 + 연장근로

  • 평일 22시~02시 근무 (4시간)
  • 연장근로수당 + 야간수당 중복 → 2배 적용
  • 11,960원 × 2 × 4 = 95,680원

이처럼 연장근로수당은 조건에 따라 금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연장근로수당 마무리

오늘은 연장근로수당 계산법을 기준부터 실제 사례까지 전반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핵심은 단순합니다.

  • 1일 8시간, 주 40시간 초과 시 발생
  • 통상임금의 150% 적용
  • 야간·휴일 근로와 겹치면 중복 가산

연장근로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이자, 사업주의 의무입니다.

 

정확한 계산법을 숙지하고 정당한 권리를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2026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최저임금 시급 10,320원으로 실수령액까지

2026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최저임금 시급 10,320원으로 실수령액까지2026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요?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되면서 월급 기준, 주휴수당 포함 계산법, 실수령액, 연봉 환산까지

yousoyou.co.kr

 

 

실업급여 신청방법 총정리 – 고용24로 빠르고 쉽게 신청하는 절차

실업급여 신청방법 총정리 – 고용24로 빠르고 쉽게 신청하는 절차고용보험에 가입했지만 비자발적으로 실직한 경우, 고용24를 통해 실업급여를 신청하면 온라인으로 빠르게 수급자격을 인정받

yousoyou.co.kr

 

 

기초연금 모의계산 (모의계산기 사용법)

기초연금 모의계산 (모의계산기 사용법)2025년 기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일정 소득·재산 기준을 충족한 분에게 매월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실제 신청 전 본인이 받을 수 있

yousoyou.co.kr

 

 

건설 일용직 퇴직금 받는법 – 고용노동부 계산기 활용과 신고 절차까지 안내

건설 일용직 퇴직금 받는법 – 고용노동부 계산기 활용과 신고 절차까지 안내 2025년 현재, 건설 일용직 근로자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 이상, 1년 이상 근무했다면 정규직과 마찬

yousoyou.co.kr

 

 

근로장려금 지급일확정

근로장려금 지급일확정 2025년 근로장려금 정기·반기 지급 일정이 확정되었습니다. 정기 신청자는 9월 말 지급 예정이며, 반기 신청자는 상반기분 6월 말, 하반기분 12월 말에 지급됩니다. 지급

yousoyou.co.kr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바로가기)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바로가기)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은 근로자에게 생활 안정을 지원하는 제도가 바로 ‘근로장려금’입니다. 특히 ‘반기신청 제도’는 상·하반기로 나누어 신속히 지급받

yousoyou.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