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최저임금 시급 10,320원으로 실수령액까지
2026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요?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되면서 월급 기준, 주휴수당 포함 계산법, 실수령액, 연봉 환산까지 모두 달라졌습니다.
이 글 하나로 2026년 최저임금 계산법을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2026년 최저시급은 얼마? 시급 10,320원 확정과 월급 기준 총정리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보다 약 2.9% 인상된 금액으로, 올해도 많은 직장인과 알바생에게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렇다면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일까요?
- 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월급:
👉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여기서 209시간은 주 40시간 × 4.345주로 계산한 법정 근로시간 기준입니다.
이 금액은 주휴수당 포함 기준이며, 정확한 2026년 최저월급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2. 주휴수당 포함한 최저임금 계산법│알바도 꼭 알아야 할 기본 공식
주휴수당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부분 중 하나죠.
주휴수당이란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개근한 경우, 일주일에 1일치의 유급휴일을 주는 제도입니다.
💡 주휴수당 계산 공식
- (1일 근무시간) × (시급) = 주휴수당
예: 하루 8시간 × 10,320원 = 82,560원 / 주
알바생도 주 15시간 이상 일하면 주휴수당 포함된 시급 계산을 해야 하며, 실제 받는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 최저임금 계산법에선 주휴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시급이 다르게 보이기도 합니다.
3. 2026년 최저시급 기준 실수령액 계산│4대 보험 공제 후 실급여는?
월급이 2,156,880원이라고 해서 전부 통장에 들어오는 건 아닙니다.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이 공제되기 때문이죠.
실수령액 예시 (1인 근로자 기준)
- 국민연금: 약 97,000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약 76,000원
- 고용보험: 약 21,000원
- 총 공제액: 약 194,000원
👉 실수령액 = 2,156,880원 - 194,000원 ≒ 1,962,000원 내외
여기에 식대나 교통비, 추가 수당이 있다면 실수령액은 조금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2026년 실수령액 계산은 단순히 시급만 곱하는 게 아니라, 공제액을 정확히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꼭 체크해야 합니다.
4. 시급에서 연봉까지! 2026년 최저시급 기준 연봉 환산법 한눈에
그렇다면 2026년 최저시급으로 연봉은 얼마일까요?
📌 연봉 계산 공식
- 월급 2,156,880원 × 12개월 = 25,882,560원
👉 즉, 2026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한 연봉은 약 2,588만 원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 4대 보험 공제 전 기준이며, 실연봉은 약 2,350만 원 내외로 추산됩니다.
이런 연봉 환산은 특히 계약서 작성, 대출 소득 증빙, 연말정산 시 매우 중요하니 꼭 알아두셔야 해요.
✅ 최저시급 마무리 요약
-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원, 주 40시간 기준 월급은 2,156,880원
- 주휴수당 포함 시 시급과 실수령액이 달라지므로 꼭 확인해야 함
- 실수령액은 약 196만 원 전후 (4대 보험 공제 포함 시)
- 연봉 환산 시 약 2,588만 원, 실연봉은 약 2,350만 원 추정
근로장려금 지급일확정
근로장려금 지급일확정 2025년 근로장려금 정기·반기 지급 일정이 확정되었습니다. 정기 신청자는 9월 말 지급 예정이며, 반기 신청자는 상반기분 6월 말, 하반기분 12월 말에 지급됩니다. 지급
yousoyou.co.kr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총정리 – 병원비, 장례비, 주거급여까지 모두 확인!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총정리 – 병원비, 장례비, 주거급여까지 모두 확인! 기초생활수급자는 생계가 어려운 가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생계급여를 포함해
yousoyou.co.kr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방법과 자격 요건 총정리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방법과 자격 요건 총정리안녕하세요. 자유소유입니다~~ 가계에 속하면 결정적으로 소득이 될 수 없는 건강과 가슴까지 무거운 시기. 이런 순간에 가장 필요한
yousoyou.co.kr
프리랜서 퇴직금 조건과 기준은? IT·학원강사 별 지급 사례 분석
프리랜서 퇴직금 조건과 기준은? IT·학원강사 별 지급 사례 분석 프리랜서 퇴직금, 근로자성, 3.3%원천징수, IT·학원강사 판례, 퇴직금 계산, 고용노동부 진정 등 프리랜서들도 조건 충족 시 퇴직
yousoyou.co.kr
건설 일용직 퇴직금 받는법 – 고용노동부 계산기 활용과 신고 절차까지 안내
건설 일용직 퇴직금 받는법 – 고용노동부 계산기 활용과 신고 절차까지 안내 2025년 현재, 건설 일용직 근로자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 이상, 1년 이상 근무했다면 정규직과 마찬
yousoyou.co.kr
정부 노임단가표 (기술자별 총정리)
정부 노임단가표 (기술자별 총정리)정부 노임단가표는 공공공사 예산 산정의 핵심 기준입니다. 2025년 기술자별 노임단가표를 기준으로 특급기술자, 기능공, 보통인부까지 모든 직종별 노임단가
yousoyou.co.kr
'지원금, 혜택 ,세금 ,대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쿠폰 사연 공모전, 대상 200만 원 도전! 참가방법 바로가기 (2) | 2025.08.04 |
---|---|
폐렴구균 예방접종 시기·무료 대상자 총정리 – 가격까지 한눈에 정리 (2) | 2025.08.04 |
공무원 장기재직휴가 신청절차 2025 (3) | 2025.08.02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급시기 바로가기 (3) | 2025.08.01 |
일본뇌염 경보 대응 가이드 – 예방접종 가격, 부작용까지 완벽 정리 (4)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