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혜택 정보

유족연금과 본인 국민연금,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수급 기준

by 자유소유 2025. 4. 5.
반응형

유족연금과 본인 국민연금,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수급 기준

안녕하세요, 자유소유입니다~~~

 

노후가 가까워질수록 연금에 대한 궁금증은 더 커지죠. 특히 유족연금과 본인 국민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데요.

오늘은 이 부분을 2025년 기준으로 아주 쉽게 풀어드릴게요.

목차

  1. 국민연금의 3가지 종류
  2. 유족연금 수급 기준 (2025년)
  3. 유족연금과 본인 연금,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
  4. 유족연금 수급 시 유의사항
  5. 사례로 보는 유족연금 수령 전략
  6. 마무리

1. 국민연금의 3가지 종류

국민연금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 노령연금: 10년 이상 가입 후 연령 도달 시 받는 기본 연금
  • 장애연금: 장애 등급에 따라 지급
  • 유족연금: 가입자 사망 시 남은 가족에게 지급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기초연금과는 별개이며, 국민연금 가입자만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 유족연금 수급 기준 (2025년 최신)

유족연금은 가입 기간에 따라 아래처럼 다르게 지급됩니다.

  • 10년 미만 가입자 사망: 기본 연금액의 40%
  • 10년 이상 ~ 20년 미만: 50%
  • 20년 이상: 60%

여기서 “기본 연금액”이 중요한데요.
예를 들어, 남편이 10년 가입하고 월 50만원을 받던 중 사망했다면,

아내는 50만원의 50%인 25만원을 받는 것이 아니고,
남편이 20년 가입 시 받았을 100만원 기준으로 50%인 5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즉, 가입기간이 길수록 유족연금이 늘어난다는 뜻입니다.


3. 유족연금과 본인 국민연금,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

정답부터 말하자면, 아니요. 동시에 100% 다 받을 수 없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도
“유족연금”과 “본인의 국민연금(노령연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단, 선택하지 않은 쪽은 일부 비율로 지급되기도 하는데요.

  • 유족연금을 선택하면 본인 연금의 30%를 추가로 받을 수 있음
  • 본인 연금을 선택하면 유족연금의 30%를 받을 수 있음

하지만 이는 경우에 따라 다르므로 소득 수준과 연금액을 잘 비교해야 합니다.


4. 유족연금 수급 시 유의사항

재혼 시 유족연금 소멸

  • 유족연금을 받고 있던 배우자가 재혼하면 지급이 완전히 종료됩니다.
  • 단순 중단이 아니라 소멸되기 때문에 다시는 받을 수 없습니다.

직역연금(공무원/군인)과의 차별

  • 공무원 유족연금은 무조건 60%
  • 국민연금은 40~60% 차등
  • 직역연금 수급자와 결혼한 경우 유족연금과 본인 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음

연금 수령 선택 전략

  • 남편 연금: 200만원, 아내 연금: 80만원
    → 유족연금 선택 시: 120만원 + 본인 연금 일부 36만원 = 총 156만원
    → 본인 연금 포기 시: 유족연금 120만원만 받음

따라서 선택은 개인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5. 사례로 보는 유족연금 수령 전략

  • 경주시에 거주하는 김 씨 부부는 모두 국민연금 가입자였습니다. 남편이 사망하며 유족연금을 선택했지만, 아내의 연금이 더 크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고 후회했죠.
  • 청주시의 박 씨는 남편의 유족연금을 선택하고 본인 연금 일부를 받아, 총 30만 원 이상 더 수령할 수 있었어요.
  • 제주도에 사는 고 씨는 유족연금 수급 중 재혼하여 연금이 소멸된 사례도 있답니다.

이처럼 선택 하나로 수백만 원의 차이가 생기기도 합니다.


6. 마무리 

국민연금과 유족연금은 단순히 받기만 하는 제도가 아닙니다.

제대로 알고 준비해야 더 많이, 더 오래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특히 부부 모두 연금 수령자일 경우, 반드시 중복 수급 조건과 금액 비교를 통해 신중히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노후 재정 계획을 위한 정보를 계속해서 나눌게요.
지금까지 자유소유였습니다~~~


 
반응형